마쓰다이라 노리사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쓰다이라 노리사토는 가라쓰 번의 2대 번주 마쓰다이라 노리하루의 장남으로, 로주를 역임하며 도쿠가와 요시무네의 교호 개혁을 추진했다. 로주 수좌를 거쳐 쇼군 후계 문제로 인해 실각하여 은거했다. 겐로쿠 3년(1690년) 가독을 상속받았으며, 교호 8년(1723년) 로주가 되어 시모사 사쿠라로 전봉되었다. 겐분 2년(1737년)에는 카테가카리 로주가 되어 농정 재정을 관장했다. 엔쿄 2년(1745년) 로주에서 해임된 후, 엔쿄 3년(1746년)에 사망했다.
마쓰다이라 노리하루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도쿠가와 요시무네의 교호 개혁 추진에 참여하여, 아시다카노 세이의 제언을 받아들이고 간조 봉행 가미오 하루오와 협력했다. 또한 오카 다다스케 등과 함께 형사 재판 판례집인 공사가타 오사다메가키를 제정하고, 막부 성립 이래 여러 법령을 모은 오후레가키 슈세이를 편찬했으며, 다이코 검지 이후 막부가 직접 검지를 실시하도록 하는 등 여러 정책을 추진했다.
2. 생애
쇼군 후계 문제와 관련해서는 요시무네의 차남 타야스 무네타케를 옹립하려 했으나, 장남 이에시게가 후계자로 결정되면서 이에시게에게 소외당했다.[1]
2. 1. 가독 상속과 초기 활동
겐로쿠 3년(1690년), 아버지 마쓰다이라 노리하루가 사망하여 가독을 상속받았다. 쇼토쿠 원년(1711년), 오미 국모리야마에서 조선 통신사를 접대했다.[1]
2. 2. 로주 취임과 교호 개혁 추진
교호 8년(1723년), 로주에 취임하여 시모사 국 사쿠라 번으로 전봉되었다. 이후 20여 년간 도쿠가와 요시무네의 교호 개혁을 추진했다. 아시다카노 세이의 제언, 간조 봉행 가미오 하루오와의 협력, 오카 다다스케 등과의 상담을 통해 연공 증징, 공사가타 오사다메가키 제정, 오후레가키 슈세이 편찬, 검지 실시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다.[1]
미즈노 다다유키가 로주를 사임한 후에는 로주 수좌가 되어 후기 교호 개혁을 이끌었으며, 겐분 2년(1737년)에는 카테가카리 로주가 되어 농정과 재정 모든 것을 관장하게 되었다. 『오카 다다스케 일기』에 따르면, 간토 지방 고용가케 직을 맡고 있던 오카 다다스케도 로주의 월번과 관계없이 농정에 관한 모든 것은 노리사토에게 보고하도록 지시받았다.
당시 요시무네는 오소바고용 토리츠기를 통해 로주 합의제를 무력화하고 쇼군 전제 정치를 하고 있었다. 겐분 3년(1738년) 오카 다다스케 휘하의 가미사카 야스자에몬이 대관소에 의한 밤나무 식림을 3년에 걸쳐 실시하는 건에 대해, 고용 오소바 토리츠기인 가노 히사미치로부터 허가를 받았으나, 카테가카리 로주였던 노리사토는 "듣지 못했으므로 서류를 받을 수 없다"며 처리를 일시 거부했다. 이는 노리사토가 로주를 경시하는 정치에 대해 보인 저항으로 여겨진다.[1]
2. 3. 로주 수좌와 후기 교호 개혁
미즈노 다다유키가 로주에서 사임한 후, 노리사토는 로주 수좌가 되어 후기 교호 개혁을 이끌었다. 겐분 2년(1737년) 카테가카리 로주가 되어 농정과 재정 전반을 담당하게 되었다.[1]
『오카 다다스케 일기』에 따르면, 간토 지방 고용가케 직을 맡고 있던 오카 다다스케는 로주의 월번(月番)에 관계없이 농정에 관한 모든 것을 노리사토에게 보고하라는 지시를 받았다.[1]
당시 도쿠가와 요시무네는 오소바고용 토리츠기를 통해 로주 합의제를 무력화하고 쇼군 중심의 정치를 펼치고 있었다. 겐분 3년(1738년), 오카 다다스케 휘하의 가미사카 야스자에몬이 대관소에 의한 밤나무 식림을 3년에 걸쳐 실시하는 건에 대해 가노 히사미치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그러나 오카가 카테가카리 로주였던 노리사토에게 출비 결재를 요청했을 때, 노리사토는 "듣지 못했으므로 서류를 받을 수 없다"며 처리를 일시 거부했다. 이는 당시 오소바 고용 토리츠기가 실무 관료들과 직접 정책을 결정하던 상황에서, 노리사토가 로주를 경시하는 정치에 대해 소극적으로 저항한 것으로 해석된다.[1]
2. 4. 쇼군 후계 문제와 로주 해임
도쿠가와 요시무네의 차남 다야스 무네타케를 쇼군으로 옹립하려 했으나, 장남 이에시게가 후계로 결정되어 이에시게에게 소외당했다.[1] 엔쿄 2년(1745년), 사카이 타다야스가 로주로 취임하면서 로주 수좌 자리를 내주고 차석으로 밀려났다. 같은 해 11월, 이에시게가 9대 쇼군으로 취임하자 곧바로 로주에서 해임되었고, 가증 1만 석을 몰수당하고 은거를 명받았다. 차남 노리히로에게 가독 상속은 허락되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데와 국야마가타로 전봉되었다.
2. 5. 사망
延享3年일본어(1746년) 사망했다. 향년 61세.[1]
3. 연표
4. 계보
- 아버지: 마쓰다이라 노리하루
- 어머니: 구라히메 - 오쿠다이라 마사요시의 차녀
- 정실: 쓰치야 마사나오의 딸
- 자녀
이름 | 비고 |
---|---|
마쓰다이라 노리요리 | 장남 |
마쓰다이라 노리스케 | 차남, 생모는 야나세 씨 |
마쓰다이라 노리쓰네 | 삼남, 생모는 카가노 씨, 마쓰다이라 노리카타의 양자 |
마쓰다이라 노리토미 | 생모는 카가노 씨 |
마쓰다이라 노리히로 | |
히사 | 큐쇼인, 마키노 아키나리 정실 |
오카베 나가아키 정실, 생모는 야나세 씨 |
5. 등장 작품
- 떠돌이 무사 (다이에이 교토 영화, 1947년, 배우: 오토모 류타로)
- 그림자 군단 II (간사이 TV, 1982년, 배우: 나가노 타츠야)
- 8대 쇼군 요시무네 (NHK 대하 드라마, 1995년, 배우: 아베 히로시)
- 오오카 에치젠 5 (NHK BS 프리미엄, 2020년, 배우: 타무라 료)
- 오오쿠 (NHK 종합, 2023년, 배우: 쿠로사와 아스카) ※남녀 역전 설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